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산2

뭐라구요? 백두산이 폭발한다고요? 백두산 화산 폭발의 역사뭐라구요? 뭐라고요? 어느게 맞는 단어일까요? 무엇이라고? 의 줄임말로 보면 맞춤법상에 맞는 단어는 뭐라고요? 입니다. 상대방이 하는 말이나 들은 소리가 의아하게 받아 들여지는 경우에 되받아서 하는 말로서 많이 쓰입니다. 뭐라고요? 백두산이 폭발한다고요? 정말 놀라운 소리지요? 어떻게 백두산이 폭발할 수 있을까요? 다들 백두산이 화산 폭발로 만들어진 산이라는 것을 잘 아시고 계실것입니다. 한반도에 사람이 살기 시작하고 역사가 문자로서 기록되기 시작된 이후에 문자 기록으로 남겨진 백두산 화산 폭발 기록은 총 30번이 넘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가장 큰 화산 폭발을 일으킨 기록은 서기 946년 11월 ~ 947년 2월경에 발생한 화산 폭발이 가장 큰 위력의 기록으로 남아 있습니다. 현재.. 2024. 4. 4.
지구가 어떻게 탄생했는지 궁금해요. 지질학(地質學)의 한자를 한자 한자 풀어 써 보면, 지(地)는 땅지, 질(質)은 바탕질입니다. 한국어로 소리나는 대로 읽으면 지질이 되고,  뜻을 풀어 쓰면 땅의 바탕이 됩니다. 다시 다른 말로 바꾸어 보면 땅의 품질입니다. 땅의 품질이 다시 한자로 돌아가면 지질이 됩니다. 지질=땅바탕=땅품질=지질의 순환구조를 갖추는데 한자(漢字)라는 중국문자와 한국어의 언어 및 문자차이에서 생기는 입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지구의 역사는 무엇일까요? 어떻게 형성이 되어서 어떤 특징을 갖추어 수많은 생명체를 품게 되었을까요? 끝도 없이 펼쳐진 이 넓고 멀기만 한 우주속에서 어떻게 무엇이 지구를 만들게 되었을 까요? 우주의 기원과 진화는 이 블로그의 주제는 아니고 지구로 한정하여 지질학으로 관점에서 지구를 살펴 보도록.. 2024. 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