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동해5 서해에서 오징어가 잡혀요 우리나라 대한민국은 반도 국가입니다. 반도의 의미는 잘 아시죠? 반이 섬이라는 뜻입니다. 한자로 써보면 半島, 영어로는 Peninsula입니다. 방위를 동서남북 순서로 부르니 동으로는 동쪽 바다인 동해, 서로는 서쪽 바다인 서해, 남으로는 남쪽 바다인 남해, 북으로는 북쪽 바다는 없고 아시아 대륙과 연결된 육지입니다. 동서남북 4면 중에서 북을 제외하고 동서남은 바다와 인접을 하여 반은 육지라 하여 우리나라의 영토를 한반도라고 칭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지리적 특성에 따라서 우리 나라의 식탁에는 다양한 식자재가 있으며, 풍부한 먹거리를 갖고 있습니다. 예로부터 우리는 육지로부터는 다양한 채소 작물과 곡물을 얻고, 바다로는 해초부터 수많은 종류의 물고기를 얻었습니다.동해, 서해, 남해에서 잡히는 대표 어종들.. 2024. 3. 31. 강원도 앞바다, 동해에서 참치가 잡혀요 우리 나라 사람은 아마도 대부분 바다에서 잡히는 물고기의 날회를 매우 좋아할 것입니다. 우리 나라에서 언제부터 회가 대중의 음식 문화로 자리 잡았는 지는 잘 몰라도 지금은 도심지 곳곳에서, 또는 바닷가의 음식점의 대부분이 횟집일정도로 대한민국 일상의 생활속에 확실히 자리 잡았습니다. 저도 회를 무척이나 좋아하기는 하는데 좀 가리는 편입니다. 저는 횟감 중에서 특히 겨울철의 별미인 방어회를 정말 좋아 합니다. 제 기억으로는 방어회가 이렇게 유명해지기 까지는 시간이 좀 걸리지 않았나 합니다. 가장 대중적인 횟감으로는 역시 광어회, 아나고회, 참돔 등등이었는데 어느 순간부터 겨울철 별미로 방어회가 등장을 했습니다. 처음 접했을 때 그 진득하고 기름기 넘치는 회 맛에 적잖이 놀랐던 기억과 겨울만 되면 방어회를 .. 2024. 3. 20. 한국의 에너지 자원, 석유 수입에 관한 고찰 대륙붕이란 단어는 정말 자주 들어온 단어입니다. 특히 학생 시절, 지리 과목 시간에 바다의 지형에 대해 배울때에 처음으로 대륙붕을 알게 되었습니다. 한반도는 서해의 지형이 대부분 대륙붕으로 이루어진 지역이고 동해는 대륙붕이 거의 없는 지역이라고 배웠던게 기억이 납니다. 오늘은 한반도 주변 해역의 대륙붕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대륙붕은 특히 지하자원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는 지역으로 국제적으로 관심이 크게 고조되어 있으며, 각 국간에 보이지 않는 치열한 물밑 경쟁이 일어나고 있는 장소입니다. 특히 우리나의 경우에는 부족한 지하 자원으로 인하여 한반도 주변 해역의 대륙붕에 대해 특히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해양 자원의 개발을 위해 국가 차원에서 전략을 세워 집중적으로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 2024. 3. 10. 한국의 석유 탐사 역사 우리나라 한반도는 석유가 매장되지 않은 지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현대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에너지 자원은 여전히 석유입니다. 석유 자원을 갖고 있는 국가는 석유를 판매함으로서 판매 대금으로 국가의 재정을 집행합니다. 석유를 생산하여 해외에 판매를 하는 국가는 대부분 부자 국가로 알려져 있습니다. 물론 남아메리카의 석유 부국 베네수엘라는 이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특이한 경우이기는 합니다. 정치체제가 안정적이지 못한 상황이어서 석유 자원의 통제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여 초래된 결과입니다. 또한 아프리카의 석유 부국들도 생산하는 석유량 만큼 국가 재정이 풍부하지는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 또한 정치 체제가 불안정하거나 선진국의 석유 정제 메이져 회사와의 불평등 계약 구조에 의해 판매 대금이 제대로 국가 발전.. 2024. 3. 9. 울산 바위가 언제 생겼나요? 국민학교 때에 수학여행을 갔었습니다. 경주에 가서 천마총도 구경하고 에밀레 종도 보았었습니다. 남은 일정 중에 설악산으로 이동하여 울산 바위를 올라갔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 울산 바위는 멀리서 보아도 거대한 돌덩이가 매우 웅장하고 저기를 어떻게 올라갈 수 있을까하고 생각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러면서 어떻게 저 큰 바위가 만들어질 수 있었을까 하고 궁금해 했던 기억도 납니다. 그때 인솔 담당 선생님한테 들었던 내용은 저 큰 바위가 하나의 바위라는 것이었습니다. 얼마나 큰 지각 활동이 있었길래 저렇게 큰 바위가 하나의 바위가 될 수 있었을까 하고 속으로 놀랐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 바위를 군대에 가서도 보았었습니다. 해군이었고 동해에서 근무했었기 때문에 종종 동해를 거쳐 남해 지역으로 이동하곤 했었는데 그 .. 2024. 3. 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