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각종 정보/자연 정보58

지구에서 가장 깊은 곳은 어디일까요? 지구의 지질에 대해서 알아 보고 있습니다. 이번 주제는 지구에서 가장 깊은 곳은 어디일까요? 입니다. 지구에서 가장 높은 곳은 인도와 중국사이에 위치한 티벳이라는 나라의 에베레스트 산입니다. 가장 높은 곳은 에베레스트 산, 그렇다면 지구에서 지표면 아래 방향으로 가장 깊은 곳은 어디일까요? 제가 알고 있는 바로는 필리핀 수역에 위치한 필리핀 해구입니다. 해구(海溝, Trench)는 깊은 바다 중에서도 움푹 들어간 좁고 긴 곳으로 급경사면에 둘러쌓인 해저지형을 말합니다. Trench는 도랑이라고 외웠는데 바닷속 깊은 해구도 영어로 Trench라고 하는 것이 재미있습니다. 앞에서 말했듯이 제가 알고 있는 가장 깊은 해구는 필리핀 해구인데요. 아마도 이게 제가 어렸을 적에는 탐사가 이루어진 해구 중에서는 가장.. 2024. 2. 18.
시멘트와 석회암은 어떤 관련이 있을까요? 지구상의 동물은 자신만의 방식으로 자신의 집을 짓습니다. 우리 인간도 마찬가지로 지구에 나타난 이후 자신만의 방식대로 집을 만들어 생활을 해 왔습니다. 돌이 많이 나는 지역은 돌을 주재료 돌집을 짓고, 흙이 많이 나는 지역은 흙과 식물을 섞어서 흙집을 짓고, 나무가 많은 지역에서는 나무를 주재료로 나뭇집을 짓고 살아 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간의 숫자가 늘어나고 한곳에 집중적으로 모여 살아가게 된 후부터는 집을 짓는 주재료가 많이 변하고 있습니다. 그 대표적인 주재료가 바로 시멘트일 것입니다. 시멘트는 대량으로 생산이 가능하고 빠르게 경화되는 특성에 내구성이 튼튼하여 30년 이상은 충분히 버티는 강도를 갖고 있습니다. 현대 시대에 이르러서는 대부분의 도시가 이 시멘트를 이용하여 건물을 짓고 있습니다. 시.. 2024. 2. 18.
석탄(石炭, Coal)은 어떻게 만들어 졌나요? 제가 어렸을 적에는 겨울 난방을 위해 집집마다 연탄 보일러가 있었습니다. 학교에서는 조개탄이라고 하는 석탄을 사용하여 난로를 사용하였었습니다. 현 시대의 젊은이들은 처음 들어 보는 이야기일 것입니다. 연탄이라고 하면 연탄구이가 먼저 연상되지 않을까 합니다. 연탄은 원래 가정 난방용으로 만들어진 석탄으로 만든 연료입니다. 지금은 경유를 사용하는 기름 보일러나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가스 보일러로 겨울 난방을 하고 있지만 약 20여년 전에만 해도 연탄 보일러를 사용하는 가정이 한국에 상당수가 있었습니다. 가만 돌이켜 보면 10대 초반까지만 해도 아궁이라는 시설이 부엌에 있어 나무나 볏짚으로 불을 지피고 밥을 해먹고 그 열기로 온돌을 데워 따뜻하게 하루를 보내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10대 중반에 들어서서 부엌에 .. 2024. 2. 17.
석유(石油, Petroleum)는 어떻게 만들어 졌나요? 인간이 사용하는 수많은 종류의 에너지 중에서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은 무엇일까요? 먼저 에너지원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 볼 필요가 있습니다. 에너지원의 종류는 비율이 큰 것으로 분류를 해 보면, 석탄, 석유, 천연가스, 원자력, 신재생 에너지가 있습니다. 이를 비율로 나타내 보면 석탄은 25%, 석유는 30%, 천연가스는 20%, 신재생 에너지 15%, 원자력은 10%가 됩니다. 비율로 보아서는 석유가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석유는 인류사에 있어 기원전부터 활용되었으나 활용 범위는 매우 제한적이었습니다. 석유가 상업적인 용도로 개발이 이루어진 시기는 1859년도의 미국에서부터입니다. 미국 펜실바니아주의 티츄빌에서 조명을 밝히기 위한 등유로서 개발이 되었습니다. 인류의 역사 기록에 따르면 고대 바.. 2024. 2. 17.
화석 연료가 무엇인가요? 인간은 지구라는 행성에서 하루 하루의 삶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인간이 어떻게 지구에 생겨나게 되었을까요? 아직까지도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는 재미 있는 주제입니다. 오늘은 인간의 생성 과정이 아니고 인간이 살아가는데 필수적으로 필요한 에너지 자원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인간은 왜 에너지를 필요로 할까요? 사실 인간만이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지구라는 행성도 지구의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서 에너지를 필요로 합니다. 그렇다면 이 지구는 지구가 필요로 하는 에너지를 어디로부터 공급받을까요? 가장 큰 공급원은 우리가 잘 알고 있듯이 바로 태양입니다. 자료를 확인해 보니 지구가 태양으로부터 하루에 받는 에너지의 양은 173.000 테라와트(tw)정도로 추정된다고 .. 2024. 2. 15.
화산은 왜 생기는 건가요? 화산(火山, Volcano)은 말 그대로 불산입니다. 우리나라의 역사 기록이 시작된 이후로 화산에 대한 기록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한번 알아 볼까요? 인터넷 기록을 알아 본 결과 우리나라 고려 시대에 백두산에서의 화산 활동이 기록으로 남아 있다고 합니다. 조선 시대에도 다수의 화산 활동 기록이 백두산과 한라산에서 관찰되었다고 합니다. 현재는 한라산 같은 경우는 완전한 휴화산으로 분류가 되며, 백두산의 경우에는 활화산으로 분류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백두산의 경우에는 근래 들어 지표면의 온도와 열기를 품은 수증기의 분출이 관찰되고 있어 백두산 하부에서 마그마 활동이 시작된 것으로 지질 학자들은 예상하고 있습니다. 1903년에 폭발적인 분출이 있었으며, 그 이후로도 간헐적인 화산 활동이 관측되었다고 합니다.. 2024. 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