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각종 정보/자연 정보58 한반도 해역의 대륙붕(大陸棚, Continental Shelf) 한반도(韓半島, Korean Peninsula)는 한자어입니다. 이 한자어를 순 한국어로 풀어 보면 '영토의 반이 섬인 한국'으로 이야기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영토의 반이 섬이라는 것은 바다와 영토가 인접해 있다는 뜻으로 영토의 주변, 최소한 50%가 바다와 연결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잘 아시다시피 우리나라 한반도는 동해, 서해, 남해로 둘러 쌓여 있습니다. 3면이 바다라는 이야기를 자주 들으셨을 것입니다. 동해는 육지로부터 바다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해역이 급격한 경사면으로 진행합니다. 바다의 깊이가 평균 1,753m입니다. 가장 깊은 해역은 울릉해구로서 최대 깊이가 3,500m정도입니다. 서해는 평균 깊이가 겨우 44m 밖에 되지 않습니다. 가장 깊은 곳이라 해도 103m를 넘지 않습니다. 남해의.. 2024. 3. 11. 한국의 에너지 자원, 석유 수입에 관한 고찰 대륙붕이란 단어는 정말 자주 들어온 단어입니다. 특히 학생 시절, 지리 과목 시간에 바다의 지형에 대해 배울때에 처음으로 대륙붕을 알게 되었습니다. 한반도는 서해의 지형이 대부분 대륙붕으로 이루어진 지역이고 동해는 대륙붕이 거의 없는 지역이라고 배웠던게 기억이 납니다. 오늘은 한반도 주변 해역의 대륙붕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대륙붕은 특히 지하자원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는 지역으로 국제적으로 관심이 크게 고조되어 있으며, 각 국간에 보이지 않는 치열한 물밑 경쟁이 일어나고 있는 장소입니다. 특히 우리나의 경우에는 부족한 지하 자원으로 인하여 한반도 주변 해역의 대륙붕에 대해 특히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해양 자원의 개발을 위해 국가 차원에서 전략을 세워 집중적으로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 2024. 3. 10. 한국의 석유 탐사 역사 우리나라 한반도는 석유가 매장되지 않은 지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현대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에너지 자원은 여전히 석유입니다. 석유 자원을 갖고 있는 국가는 석유를 판매함으로서 판매 대금으로 국가의 재정을 집행합니다. 석유를 생산하여 해외에 판매를 하는 국가는 대부분 부자 국가로 알려져 있습니다. 물론 남아메리카의 석유 부국 베네수엘라는 이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특이한 경우이기는 합니다. 정치체제가 안정적이지 못한 상황이어서 석유 자원의 통제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여 초래된 결과입니다. 또한 아프리카의 석유 부국들도 생산하는 석유량 만큼 국가 재정이 풍부하지는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 또한 정치 체제가 불안정하거나 선진국의 석유 정제 메이져 회사와의 불평등 계약 구조에 의해 판매 대금이 제대로 국가 발전.. 2024. 3. 9. 개마고원(蓋馬高原)은 어떻게 생겼나요? 고원은 지대가 높은 곳에 위치하면서 편평한 구조를 갖추고 있는 평야지대를 의미합니다. 평야지대하니까 호남평야와 같은 논밭으로 이루어진 너른 들판을 의미하는 것으로 오해할 수 있습니다만 곡창지대를 이루는 평야지대가 아니라 높은 산속에 너르게 퍼져 있는 들판을 의미합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어디가 가장 유명할까요? 딱히 무슨 고원이라고 떠오르는 고원이 없습니다. 하지만 인공지능을 통해 알아 보니 한라산 고원, 설악산 고원, 태백산 고원, 지리산 고원을 알려 줍니다. 그냥 높은 산의 상부 정상지대에 분포해 있는 고원을 알려주는 것 같습니다. 그러다 보니 이름이 누구에게나 알려진 고원을 알려주는 것이 아닌 우리나라 남한에 있는 대부분의 높은 산과 그 산의 고원지대를 붙여 알려주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남한에 살고 있.. 2024. 3. 5. 울산 바위가 언제 생겼나요? 국민학교 때에 수학여행을 갔었습니다. 경주에 가서 천마총도 구경하고 에밀레 종도 보았었습니다. 남은 일정 중에 설악산으로 이동하여 울산 바위를 올라갔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 울산 바위는 멀리서 보아도 거대한 돌덩이가 매우 웅장하고 저기를 어떻게 올라갈 수 있을까하고 생각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러면서 어떻게 저 큰 바위가 만들어질 수 있었을까 하고 궁금해 했던 기억도 납니다. 그때 인솔 담당 선생님한테 들었던 내용은 저 큰 바위가 하나의 바위라는 것이었습니다. 얼마나 큰 지각 활동이 있었길래 저렇게 큰 바위가 하나의 바위가 될 수 있었을까 하고 속으로 놀랐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 바위를 군대에 가서도 보았었습니다. 해군이었고 동해에서 근무했었기 때문에 종종 동해를 거쳐 남해 지역으로 이동하곤 했었는데 그 .. 2024. 3. 3. 한탄강에도 화산 활동의 흔적이 있어요. 한탄강! 이름이 참 특이한 강입니다. 왜 한탄강인지 먼저 알아보고 한탄강의 지질 역사로 들어가겠습니다. 한탄(漢灘)으로 한나라 한(漢), 여울탄(灘)자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여기서도 중국의 한나라 한(漢) 흔적이 있습니다. 오늘은 한탄강에서의 화산 활동 흔적을 찾는 것이었는데 중국 고대 국가인 한나라의 흔적이 우리 나라 중부 지대를 흐르는 한탄강에도 그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는 것도 흥미로운 일입니다. 여울은 강이나 바다에서 깊이가 얕아 물살이 빠르게 흐르는 곳을 말하는 것으로 한탄강의 물살이 세게 흐르는 것을 빗대어 이름이 한탄강으로 지어진 것 같습니다. 여름철만 되면 많은 사람들이 레저 활동을 위해 이 산 저 산, 이 바다 저 바다, 이 계곡 저 계곡으로 떠납니다. 한탄강도 레저 활동 장소로 아주 유.. 2024. 3. 3. 이전 1 ··· 3 4 5 6 7 8 9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