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각종 정보/자연 정보58

지구에서 가장 높은 산, 에베레스트 인간의 인지 능력이 만든 세상은 다양합니다. 높고 낮음에 대한 인지능력으로 지표면에서 가장 높은 곳과 가장 낮은 곳을 찾아 그 높이와 깊이를 측정하고 기록으로 저장해 놓았습니다. 가장 높은 장소는 네팔에 있는 에베레스트산이며, 가장 깊은 장소는 태평양의 마리아나해구입니다. 에베레스트산의 높이는 해수면을 기준으로 하늘 방향으로 8,849미터입니다. 마리아나 해구는 해수면에서 지구의 중심 방향으로 11,092미터입니다. 오늘은 지구에서 가장 높은 산인 에베레스트 산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저는 에베레스트 라는 단어가 네팔어 일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단어가 주는 어감이 네팔어 일듯 하기도 하고 그 지역명을 따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니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인터넷 백과사전을 통해 알아 보니 19세기.. 2024. 2. 23.
지구의 좌표, 위도와 경도에 대해서 공부해요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의 좌표는 무엇일까요? 정확하게 서울시 종로구에 있는 광화문 광장의 세종대왕 동상의 좌표가 궁금하네요. 알아 봅시다. 인공 지능을 통해 확인한 좌표는 위도 37.571389, 경도 126.977778입니다. 이 좌표 시스템은 누가 언제 왜 만들었을까요? 무척 유용한 시스템입니다. 저희는 잘 모르지만 우리 생활 곳곳에 퍼져 있을 것이며 전세계 모든 사람들 중에 핸드폰이 있는 사람은 그 사람 고유의 좌표를 항상 몸에 지니고 다니는 것과 같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핸드폰에는 그 핸드폰 고유의 GPS 시스템이 있어 핸드폰이 있는 곳이면 언제나 위도와 경도 좌표계를 자신도 모르게 이용하고 있는 것이니까 말입니다. 이런 훌륭한 좌표계는 누가 만들었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위도와 경도는 무엇인가요.. 2024. 2. 22.
북극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북극(北極, Arctic or North Pole), 지구의 북쪽 끝이면서 지구의(地球儀, Terrestrial Globe)에서 가장 꼭대기점에 해당하는 위치이며, 위도상으로는 북위 90도입니다. 남극에 대해서 알아볼 때에 지구의 남극과 북극이 어떤 기준점으로 남북극이 있을 수 있는지를 알아 보았습니다. 우주의 개념에서는 지구의 방위 개념이 없으나 지구에서는 지구의 각 부분에 대한 지리적 구분점을 부여하기 위해 동서남북의 방위를 인위적으로 필요에 따라서 정하였다고 하였었습니다. 다음번에는 지구의 지리적 구분인 위도와 경도에 대해서 알아 보아야 겠습니다. 과연 북극은 어떤 지질학적 특징을 갖고 있을까요? 가장 특이할 만한 사항은 남극은 대륙으로서 육지이나 북극은 단순히 거대한 얼음덩어리라는 점입니다. 좀 .. 2024. 2. 21.
남극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남극(南極, Antartica)은 원통 모양의 지구 남쪽끝에 위치한 포인트입니다. 남위 90도이며, 북극의 대척점에 해당합니다. 우주 공간에서 어떻게 남쪽과 북쪽의 방향성이 생기는 지 궁금해 집니다. 우주 공간은 360도 3차원의 공간이기 때문에 동서남북을 정하기가 매우 어려울텐데 어떻게 우리는 동서남북을 정하여 지구의 아래방향 꼭지점을 남극이라 칭하고 반대의 방향에 있는 꼭지점을 북극이라고 정할 수 있는 것인가요? 궁금하여 인공지능한테 물어 보았더니 '우주공간에서 동서남북과 괕이 지구이 방향 개념은 상대적으로 의미가 없습니다. 동서남북은 지구의 지리적인 개념으로, 지구의 자전축과 자기장의 의해 형성됩니다. 그러나 우주공간에서는 다른 천체나 우주 개체와 비교할 때에만 상대적인 방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2024. 2. 20.
자전축(自轉軸, Rotation Axis)이 무엇인가요? 23.5도. 우리 지구의 자전축 기울기입니다. 지구를 남북 방향으로 세우고 일직선을 그어 놓은 다음에 지구가 하루에 한바퀴씩 스스로 회전을 하는데 이 회전축과 일직선의 기울기가 24.5도입니다. 왜 지구의 원형체에 24.5도의 기울기가 생기는 것일까요? 여기에 북극과 남극은 지구의 자전축 꼭지점과 아랫점에 위치할까요? 아니면 그대로 북쪽의 꼭지점과 남쪽의 꼭지점에 위치하고 있을까요? 그리고 지구는 왜 하루에 한바퀴씩 스스로 회전을 하는 것일까요? 참 신기한 현상입니다. 지구는 왜 회전을 할까요? 아시다시피 지구는 하루에 한바퀴씩 스스로 회전을 합니다. 동시에 태양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는 공전 운동을 하기도 합니다. 이 공전과 스스로 도는 회전 운동에 의해 지구에는 낮과 밤이 생기며, 봄-여름-가을-겨울이.. 2024. 2. 18.
지구에서 가장 깊은 호수는 어디인가요? 지구에서 가장 깊은 바다는 마리아나 해구이며, 필리핀 동쪽 방향으로 미국령 마리아나 제도에 위치해 있습니다. 바다는 염류의 비율이 3.5% 정도를 차지하고 바닷물이 짠 맛을 내는 특징을 갖게 합니다. 지구는 표면의 70%가 물로 덮혀 있습니다. 이 중에서 약 97.5%는 염수인 바다물이며, 약 2.5%는 담수인 물입니다. 간단히 다시 말하면 지구의 표면은 70%가 바다이고 약 30%는 육지와 담수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바다물과 담수는 지구의 생태계와 기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지구 환경의 한 측면입니다. 담수는 육지에서 강과 호수, 그리고 지하수의 형태로 존재합니다. 얼음의 형태로 존재하는 담수가 전체 민물의 68.7%를 차지하며, 지하수가 약 30.1%, 나머지 0.9%가 육지 표면에 .. 2024. 2.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