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각종 정보30

한반도 주변에서도 해수면이 상승하고 있어요 Global Warming(온실 효과)는 우리가 알지 못하는 사이 아주 가까이 다가와 있었습니다. 그동안 써 온 블로그 내용에서도 자주 언급한 내용들입니다. 오늘은 육지가 아닌 바다를 중심으로 온실 효과에 따른 부작용을 알아 보려고 합니다. 먼저 육지에서는 어떤 온실 효과 부작용이 있었는지 잠시 한번더 확인하고 바다로 이동해 보겠습니다. 먼저 우리나라의 전 산하를 뒤덮고 있었던 소나무 숲의 변화입니다. 오늘도 집에서 가까운 백운호수를 다녀왔습니다. 아내와 함께 비가 오기전에 바깥 공기 좀 마시자 하고 백운호수로 향했습니다. 백운호수를 자주 다니신 분들은 잘 아시겠지만 호수의 크기에 맞춰 산책로를 빙 둘러서 만들어 놓았습니다. 이전부터 있었던 매운탕과 같은 한식과 파스타와 같은 서양식의 음식점들이 이제는 .. 2024. 5. 26.
장마가 왜 생기는 것이죠? 우리 한반도는 봄-여름-가을-겨울의 뚜렷한 계절적 차이를 갖고 있는 지역입니다. 각 계절별로 우리의 주변은 그 변화를 시시각각 다르게 보여줍니다. 봄에는 만가지 생물이 소생하고 푸릇푸릇한 기운을 머금고 활기로 가득찬 생생한 하루를 만들어 가며, 여름에는 뜨거운 햇빛과 높은 습도로서 하루 하루의 삶에 무한의 불쾌지수를 선사하며, 가을에는 전 국토가 형형색색의 단풍으로 그 멋을 한껏 부리면서 겨울에 들어서는 북극아 저리가라 할 정도로 찬 기운으로 온 국토를 얼려 버리기도 합니다. 분명히 날씨는 Global Warming 효과로 인해 평균 기온이 높아지고 봄-가을-겨울은 짧아지고 여름만 길어 졌는데 이상하게도 겨울이 짧아지기는 했는데 그 온도는 더욱더 낮아지고 있습니다. 혹한이 아주 짧게 나타나지만 그 영향은.. 2024. 5. 21.
몬산토와 인도 농부의 슬픈 이야기_무엇이 진실일까? 다른 블로그에서 씨앗 전쟁 또는 종자 전쟁에 대해서 이야기를 다루어 보았습니다. 한반도에서 유출된 종자로 대표적인 예가 수수꽃다리라는 한국 이름의 라일락이 미국인에 의해 미국으로 넘어가 현지에서 육종 단계를 거쳐 미스김 라일락이라는 이름으로 현지 정원수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예가 있더라구요. 위 사진은 오늘 서울대공원에 가서 테마 랜드에 입장하여 산책을 하던 중에 우연히 발견하여 찍은 사진입니다. 실제로 미스김 라일락을 눈으로 본 경우는 처음이었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일반적인 라일락은 길거리에서 꽤 큰 꽃나무인데 여기 서울대공원에 있는 이 라일락은 왜 이렇게 왜소한지 모르겠습니다. 그냥 아름다운 이야기로 마무리 하기에는 숨은 이야기가 불편한 진실을 안고 있습니다. 왜냐 하면 총성없는 전쟁 또.. 2024. 5. 12.
국뽕에 취하다 "국뽕에 취하다" 참 단어가 뭣 합니다. 요즘의 언어 중에 접두어 "개" 라는 단어를 많이 쓰듯이 제게는 참 뭣합니다. 뭣하다는 저의 표현은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아름다운 단어가 많은데도 굳이 이런 단어를 사용하여 강조를 하고자 하는 이유를 통 모르겠습니다. 저도 이제 Old Generation이 맞는가 봅니다. 다신 국뽕으로 돌아와서는 그 뽕이라는 단어가 제게 주는 느낌은 마약쟁이입니다. 뽕쟁이는 곧 마약을 하는 이를 뜻하는 단어였는데 어찌하여 국뽕이란 단어로 새롭게 확장을 하였군요. 그 뜻을 찾아 보니 '국뽕은 국가와 히로뽕의 합성어이며 국가에 대한 자부심의 속된 표현' 입니다. 강한 자부심을 표현하는 말입니다. 그냥 들었을 때 한방에 알아들을 수 있는 단순하지만 아주 임팩트 있는 단어임에.. 2024. 5. 9.
한반도가 아열대라고요? 지금은 2024년 5월입니다. 현재 컴 화면에 나타나는 기온은 14도에 흐림이라고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엊그제 새벽부터 시작된 비가 어제와 오늘의 기온을 이렇게 낮춰 놓았네요. 하지만 4월 마지막 주의 어느 한낮 기온은 거의 30도에 육박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방금 기상정보를 검색해 보니 4월 28일자 서울 한 낮의 기온은 29도이네요. 놀라운 것을 같은 날 전라남도 광주시의 한 낮 기온은 30도로 나타나 있습니다. 4월 말에 한 낫의 기온이 30도가 넘다니!!! 기가 막힐 노릇입니다. 물론 저의 경우입니다.저의 기억에는 저의 어렸을 적 30도가 넘는 온도는 빨라야 6월 말 또는 7월 초였었습니다. 이 때도 만약 이렇게 6월 말에 30도가 넘는 날씨가 발생하면 TV에서 온통 난리가 날 정도로 호들.. 2024. 5. 6.
지구는 완전한 구형인가요? 저의 블로그는 지질학을 다루고 있습니다. 지구의 형질을 다룬다는 것입니다. 지구의 형질이라고 하면, 지구가 갖는 땅과 땅속, 하늘의 특징을 과학적인 분석에 따라 객관적으로 탐구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제가 지질학을 전문적으로 공부한 학생이 아니어서 일반 상식의 범위와 인터넷 정보를 검색하여 이를 정리하여 올리고 있습니다. 오늘의 주제로는 지구가 완전한 구형일까요? 입니다. 저희가 우주를 들여다 보면 그 수많은 사진과 이미지 속에서 보여지는 별과 항성, 행성, 위성 들의 모습이 둥근 모양이라는 것은 다 아실 것입니다. 그런데 아무 생각없이 사진이나 이미지에 노출이 되면서 아무런 의심없이 우주속에 존재하는 물체들은 구형이겠거니 하고 그냥 있는 그대로 받아 들일 것입니다. 저도 지금도 그렇게 생각을 하고.. 2024. 4. 7.
지구의 대기(大氣)는 왜 우주로 흩어지지 않는가? 우리는 우주라는 공간속에 초거대 별들의 집합체인 은하계에 살고 있습니다. 은하계중에서도 태양계라고 불리우는 시스템에서 태양을 중심으로 넓게 펼쳐져 있는 행성, 수성-금성-지구-화성-목성-토성-천왕성-해왕성-(명왕성)의 순서 중에 지구라고 불리우는 행성에서 살고 있습니다. 우주라는 존재 자체도 신기한데 지구라는 행성에서 생명체가 생기고 인간이라는 존재도 생겨서 제가 지금 컴퓨터 자판을 두들기면서 '지구의 대기는 왜 우주로 흩어지지 않는가?'라는 글을 쓰고 있습니다. 그저 신비함의 연속입니다. 신비함의 연속 중에 글제목도 역시 신비한 현상 중에 하나입니다. 제가 이렇게 글을 쓸 수 있도록 하는 것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숨을 쉰다 입니다. 숨을 쉰다는 것은 호흡을 한다와도 같은 말인데 제가 입과 코를 .. 2024. 4. 6.
서해에서 오징어가 잡혀요 우리나라 대한민국은 반도 국가입니다. 반도의 의미는 잘 아시죠? 반이 섬이라는 뜻입니다. 한자로 써보면 半島, 영어로는 Peninsula입니다. 방위를 동서남북 순서로 부르니 동으로는 동쪽 바다인 동해, 서로는 서쪽 바다인 서해, 남으로는 남쪽 바다인 남해, 북으로는 북쪽 바다는 없고 아시아 대륙과 연결된 육지입니다. 동서남북 4면 중에서 북을 제외하고 동서남은 바다와 인접을 하여 반은 육지라 하여 우리나라의 영토를 한반도라고 칭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지리적 특성에 따라서 우리 나라의 식탁에는 다양한 식자재가 있으며, 풍부한 먹거리를 갖고 있습니다. 예로부터 우리는 육지로부터는 다양한 채소 작물과 곡물을 얻고, 바다로는 해초부터 수많은 종류의 물고기를 얻었습니다.동해, 서해, 남해에서 잡히는 대표 어종들.. 2024. 3. 31.
지구는 자석(磁石, Magnet) 길을 잃었을 때 주머니에서 무언가를 꺼냅니다. 동그란 박스안에 조그맣게 길다란 삼각 막대기가 중심점을 기준으로 좌우로 막 움직입니다. 그러고 나면 방향을 파악하고 다시 길을 나섭니다. TV 드라마나 영화속에서 종종 보았던 장면입니다. 주머니에서 꺼내진 그 무언가는 바로 나침반(羅針盤, Compass) 입니다. 나침반의 사전적 정의는 '자침이 남북을 가리키는 특성을 이용하여 만든 방향을 가리키는 도구'입니다. 초등학교에 입학해서 과학 시간에는 과학실로 이동을 합니다. 과학실에 가면 알콜 냄새와 뭔가 퀘퀘한 냄새가 나는데 과학실 한켠에는 인체의 해골 모형이 있고, 이것 저것 신기한 물건들이 많았습니다. 과학 도구 상자에 자석이 있는게 보입니다. 길다란 직사각형 쇠막대기인데 한쪽은 붉은색으로 칠해져 있고, 양.. 2024. 3. 30.
지구의 둘레 길이는 얼마? 지구의 둘레 길이는 얼마인가요? 지구는 둥근 모양이니 원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원의 둘레를 한자로 원주(圓周, Circumstance)라고 합니다. 그럼, 원의 둘레 길이는 원주 길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우리가 중학교 수학 시절에 배운 원의 둘레 길이, 즉 원주 길이는 제가 기억하기로 L = 2πr = 2 x 3.14 x 반지름 이었습니다. 맞을 것입니다. 제 기억력이 아직은 살아 있습니다. 하하하. 위의 원주 길이 구하는 방정식에서 2와 원주율(π)은 알고 있으니 다음은 지구의 반지름을 알아 내는 것입니다. 하지만 지구의 반지름을 어떻게 알아낼 수 있을까요? 안타깝게도 저는 모릅니다. 제가 따로 지구의 둘레 길이를 구하려고 노력을 하지 않아도 이미 인터넷에는 아주 자세하게 또는 간단하게 답을 내어.. 2024. 3.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