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89)
열점(熱點, Hot Spot) 지구는 지표면이 거대한 크기의 여러 지각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지각판을 열거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북아메리카 지각판, 남아메리카 지각판, 유라시아 지각판, 아프리카 지각판, 인도-오스트레일리아 지각판, 남극 대륙판, 대평양 지각판, 나스카 지각판, 코코스 지각판, 카리브 지각판입니다. 재미있는 현상 중에 지각판은 맨틀 밑 용암의 이동에 의해 대륙이나 해양의 지각판은 아주 느린 속도로 이동을 합니다. 각 각의 지각판의 경계면에서는 상호의 움직임에 의해 충돌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충돌이 바로 지진에 해당하는 현상입니다. 우리와 아주 가까운 이웃인 일본이 바로 그 지각판의 충돌 위치에 있어 지진이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태평양 지각판, 필리핀해 지각판, 아메리카 지각판의 경..
한반도 해역의 대륙붕(大陸棚, Continental Shelf) 한반도(韓半島, Korean Peninsula)는 한자어입니다. 이 한자어를 순 한국어로 풀어 보면 '영토의 반이 섬인 한국'으로 이야기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영토의 반이 섬이라는 것은 바다와 영토가 인접해 있다는 뜻으로 영토의 주변, 최소한 50%가 바다와 연결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잘 아시다시피 우리나라 한반도는 동해, 서해, 남해로 둘러 쌓여 있습니다. 3면이 바다라는 이야기를 자주 들으셨을 것입니다. 동해는 육지로부터 바다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해역이 급격한 경사면으로 진행합니다. 바다의 깊이가 평균 1,753m입니다. 가장 깊은 해역은 울릉해구로서 최대 깊이가 3,500m정도입니다. 서해는 평균 깊이가 겨우 44m 밖에 되지 않습니다. 가장 깊은 곳이라 해도 103m를 넘지 않습니다. 남해의..
한국의 에너지 자원, 석유 수입에 관한 고찰 대륙붕이란 단어는 정말 자주 들어온 단어입니다. 특히 학생 시절, 지리 과목 시간에 바다의 지형에 대해 배울때에 처음으로 대륙붕을 알게 되었습니다. 한반도는 서해의 지형이 대부분 대륙붕으로 이루어진 지역이고 동해는 대륙붕이 거의 없는 지역이라고 배웠던게 기억이 납니다. 오늘은 한반도 주변 해역의 대륙붕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대륙붕은 특히 지하자원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는 지역으로 국제적으로 관심이 크게 고조되어 있으며, 각 국간에 보이지 않는 치열한 물밑 경쟁이 일어나고 있는 장소입니다. 특히 우리나의 경우에는 부족한 지하 자원으로 인하여 한반도 주변 해역의 대륙붕에 대해 특히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해양 자원의 개발을 위해 국가 차원에서 전략을 세워 집중적으로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
한국의 석유 탐사 역사 우리나라 한반도는 석유가 매장되지 않은 지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현대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에너지 자원은 여전히 석유입니다. 석유 자원을 갖고 있는 국가는 석유를 판매함으로서 판매 대금으로 국가의 재정을 집행합니다. 석유를 생산하여 해외에 판매를 하는 국가는 대부분 부자 국가로 알려져 있습니다. 물론 남아메리카의 석유 부국 베네수엘라는 이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특이한 경우이기는 합니다. 정치체제가 안정적이지 못한 상황이어서 석유 자원의 통제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여 초래된 결과입니다. 또한 아프리카의 석유 부국들도 생산하는 석유량 만큼 국가 재정이 풍부하지는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 또한 정치 체제가 불안정하거나 선진국의 석유 정제 메이져 회사와의 불평등 계약 구조에 의해 판매 대금이 제대로 국가 발전..
개마고원(蓋馬高原)은 어떻게 생겼나요? 고원은 지대가 높은 곳에 위치하면서 편평한 구조를 갖추고 있는 평야지대를 의미합니다. 평야지대하니까 호남평야와 같은 논밭으로 이루어진 너른 들판을 의미하는 것으로 오해할 수 있습니다만 곡창지대를 이루는 평야지대가 아니라 높은 산속에 너르게 퍼져 있는 들판을 의미합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어디가 가장 유명할까요? 딱히 무슨 고원이라고 떠오르는 고원이 없습니다. 하지만 인공지능을 통해 알아 보니 한라산 고원, 설악산 고원, 태백산 고원, 지리산 고원을 알려 줍니다. 그냥 높은 산의 상부 정상지대에 분포해 있는 고원을 알려주는 것 같습니다. 그러다 보니 이름이 누구에게나 알려진 고원을 알려주는 것이 아닌 우리나라 남한에 있는 대부분의 높은 산과 그 산의 고원지대를 붙여 알려주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남한에 살고 있..
울산 바위가 언제 생겼나요? 국민학교 때에 수학여행을 갔었습니다. 경주에 가서 천마총도 구경하고 에밀레 종도 보았었습니다. 남은 일정 중에 설악산으로 이동하여 울산 바위를 올라갔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 울산 바위는 멀리서 보아도 거대한 돌덩이가 매우 웅장하고 저기를 어떻게 올라갈 수 있을까하고 생각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러면서 어떻게 저 큰 바위가 만들어질 수 있었을까 하고 궁금해 했던 기억도 납니다. 그때 인솔 담당 선생님한테 들었던 내용은 저 큰 바위가 하나의 바위라는 것이었습니다. 얼마나 큰 지각 활동이 있었길래 저렇게 큰 바위가 하나의 바위가 될 수 있었을까 하고 속으로 놀랐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 바위를 군대에 가서도 보았었습니다. 해군이었고 동해에서 근무했었기 때문에 종종 동해를 거쳐 남해 지역으로 이동하곤 했었는데 그 ..
한탄강에도 화산 활동의 흔적이 있어요. 한탄강! 이름이 참 특이한 강입니다. 왜 한탄강인지 먼저 알아보고 한탄강의 지질 역사로 들어가겠습니다. 한탄(漢灘)으로 한나라 한(漢), 여울탄(灘)자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여기서도 중국의 한나라 한(漢) 흔적이 있습니다. 오늘은 한탄강에서의 화산 활동 흔적을 찾는 것이었는데 중국 고대 국가인 한나라의 흔적이 우리 나라 중부 지대를 흐르는 한탄강에도 그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는 것도 흥미로운 일입니다. 여울은 강이나 바다에서 깊이가 얕아 물살이 빠르게 흐르는 곳을 말하는 것으로 한탄강의 물살이 세게 흐르는 것을 빗대어 이름이 한탄강으로 지어진 것 같습니다. 여름철만 되면 많은 사람들이 레저 활동을 위해 이 산 저 산, 이 바다 저 바다, 이 계곡 저 계곡으로 떠납니다. 한탄강도 레저 활동 장소로 아주 유..
제주도는 언제 생성되었나요? 오늘은 제주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는 그냥 제주도하면 떠 오르는 것은 한라산과 한반도의 남해안에 일본과의 중간 수역에 위치하고 있고, 자연 경관이 매우 아름다우며, 제주도민은 제주 방언을 사용하는데 육지의 사람들은 거의 알아듣지 못한다 라는 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종종 tv를 통해 제주도의 경관을 보여 주는데 가로수가 특이하게도 야자수가 보이기도 하여 제주도가 열대지방에 속하나 하고 궁금해 하기도 합니다. 삼다도라고 하여 바람, 돌, 여자가 많은 섬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기도 합니다. 바람과 돌은 이해가 쉽게 되는데 왜 여자가 많은 섬이라고 알려졌을까요? 과학적인 분석에 의하면 해안가에서의 남녀 출생비를 알아 보면, 여자 아이의 출생률이 남자 아이의 출생률보다 더 높다라고 합니다. 왜냐 하면 바다 주..
울릉도에 대해서 알려 주세요 지난번 블로그는 울릉도에서 약 80여키로 떨어진 독도에 대한 내용이었습니다. 오늘은 독도가 나오면 당연히 거론되어야 할 울릉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본토의 울진에서 직선 거리로 약 130여키로미터 떨어진 대한민국 동해에 있는 큰 섬에, 명이 나물과 야생 고추 냉이가 유명합니다. 고추 냉이가 유명하다는 이야기는 아마 처음 듣는 분이 있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저도 의아한 경우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울릉도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보고 깜짝 놀란 적이 있었는데 그 내용이 바로 고추 냉이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물론 고추 냉이가 주인공은 아니었고, 울릉도의 산야에 관한 다큐멘터리였습니다. 울릉도 산과 들녘을 아주 잘 아는 현지인이 제작진과 함께 울릉도 구석 구석을 돌아다니면서 자연 경관을 소개하는 프로..
독도는 언제 생겼나요? 그 말도 많은 독도(獨島), 오늘은 독도의 지질학적 역사를 알아 보러 왔습니다. 왜 말도 많은 독도라고 했을까요? 주인은 가만 있는데 자꾸 옆집 사람이 자기 것이라고 우기고 있습니다. 그 이웃은 가깝고도 먼 나라, 바로 일본입니다. 하도 자주 들어서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모르는 이가 없을 것입니다. 자기네식 이름까지 지어 놓고 자기 땅이라고 계속 주장하고 있습니다. 국제 기구로까지 가서 판결을 내자면서 자꾸 대한민국을 건드리고 있습니다. 내가 지키는 내 땅인데 왜 국제 기구까지 가서 다시 내 땅임을 확인받아야 하나요? 여기서 그만하도록 하겠습니다. 블로그에 국제 정치 이슈를 적는게 매우 안좋다고 들어서 그만 멈추어야 겠습니다. 독도 이야기로 돌아 와서 독도는 언제 생긴 섬일까요? 지질학적 특성은 무엇일까요..

반응형